일본드라마; Dr. 린타로(닥터 린타로)
일본드라마; Dr. 린타로(닥터 린타로)
Dr. 린타로(닥터 린타로) Dr.倫太郞
2015년 2분기
추천하는 사람
- 미움받을 용기를 보고 일본식 심리해석에 관심이 생긴 사람
- 일본 특유의 우스꽝스러운 연기를 가능한 적게 보고 싶은 사람
- 연기력때문에 드라마를 포기하는 사람
비추천하는 사람
- 한자와 나오키에서의 담대한 사카이 마사토를 기대하는 사람
- 리갈하이의 우스꽝스러운 사카이 마사토를 기대하는 사람
이런 드라마는 아니다.
- 한국드라마 '괜찮아 사랑이야'같은 드라마
- 연애적인 서사가 진행되는 드라마
감정이입을 하지 않았는데도 보다가 감정적인 위로를 받는 작품입니다.
그렇다고 어떤 인물이 엄청 좋지도 않으나 싫지도 않아지는 작품으로 연기력이 단단한 만큼 한번 시작하면 끝까지 볼 수 있는 드라마라고 생각합니다.
정신과의사에게 정신과의사가 필요하다는 점이 오히려 위로가 되었고, 그곳에서 환자인 의사가 솔직하게 말하는 장면에서 저도 모르는 카타르시스가 느껴졌습니다.
누구나 힘들어라는 말보다 상담사, 정신과의사의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공감이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한국드라마 괜찮아 사랑이야보다 좋았다고 생각됩니다.
사랑이야기가 빠져서 일지도 모르겠네요.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인물에 대한 애정이 없으나 또 그렇다고 그 인물은 전혀 이해가 되지 않아는 없었습니다.
괜찮아 사랑이야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행동과 그것을 이해해 주는 사람들이 있어서 확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환자로 나오는 인물들도 이곳저곳에서 볼 수 있었던 사람이었기에 의외다 생각하면서 연기를 볼 수 있었습니다.
첫화의 첫장면의 정치인을 보면서, 정치를 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개인으로 감정이 흔들리고 어려움이 있는 것이 꽤나 인간적으로 느껴져서 정치인들의 그런 면면이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한자와 나오키 이후에 본 작품으로 사카이 마사토의 의사 모습이 익숙하지 않았습니다.
리갈하이도 보았기때문에 이런 괴리감을 느끼는 것이 신기하기도 했습니다.
의학드라마이지만 여러 장소에서 다른 역할로의 의사들을 보여주면서 의학드라마보다 휴먼드라마의 느낌이었습니다.
간혹 거창하게 이 드라마를 소개하는 분도 있지만 저는 이 드라마가 필요한 사람이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개개인이 이 드라마를 통해 얻어가는 감정이 다를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제가 느낀 감상 중 하나는
'결국에는 내 마음을 물어봐주는 것보다 내 감정을 공감해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힘이 된다.'였습니다.
그런 점에서 사카이 마사토같은 의사가 있다면 만나보고 싶었습니다.
이 드라마의 가장 큰 장점은 탄탄한 배우진이 아닐까싶습니다.
사카이 마사토, 마츠시게 유타카, 키치세 미치코, 타카하시 잇세이, 코히나타 후미요, 아오이 유우등 연기력이 훌륭한 배우가 많고 그만큼 유명한 배우가 많아서 편안하게 본 작품입니다.
단순한 사랑이야기,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이야기, 스포츠이야기 처럼 약간은 정형화된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에 연기력이 부족한 상황이 많아지면 이 스토리를 끌고 가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결론적으로 그렇다할 단점없는 드라마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키치세 미치코의 연기가 마음에 들었습니다. 시원시원한 미녀로 비슷한 역할들을 많이 해왔던 것 같은데 의사역할도 잘 어울리더라구요.)